2022 고1 9월 모의고사 38번 지문 해설
* 굵게 표시 - 주요 문법
* 밑줄 표시 - 핵심 어휘
1) Television is the number one leisure activity in the United States and Europe, consuming more than half of our free time.
(텔레비전은 미국과 유럽에서 제1의 여가활동인데, 우리의 자유시간 중 절반 이상을 소비한다.)
음...요즘 친구들은 텔레비전을 많이 보진 않으니까 대신에 유튜브라고 생각해봅시다. 사람들이 별다른 일정 없이 집에서 쉬는 날엔 대부분 누워서 유튜브를 보거나 넷플릭스를 보는데 시간을 할애한다는 것이죠.
2) We generally think of television as a way to relax, tune out, and escape from our troubles for a bit each day.
(우리는 일반적으로 텔레비전을 휴식하고, 관심을 끄고, 매일 잠시나마 우리의 문제로부터 탈출하는 하나의 방법으로 생각한다.)
제가 MBTI가 극 I라서 일주일에 최소 하루는 종일 집구석에 있어야 하거든요? 집에서 자고, 게임하고 유튜브 보면서 재충전의 시간을 갖는거죠. TV를 보면서 휴식을 갖는 것도 비슷한 맥락인 것 같습니다.
3) While this is true, there is increasing evidence that we are more motivated to tune in to our favorite shows and characters when we are feeling lonely or have a greater need for social connection.
(이것이 사실이긴 하지만, 우리가 외롭다고 느끼고 있거나 사회적 관계를 위한 더 큰 욕구를 가질 때 우리가 좋아하는 쇼들과 등장인물들을 보려는 동기가 더 부여된다는 증거가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단순히 재충전의 시간을 갖고자 텔레비전을 보는 것은 아니라고 하네요. 외롭고 사람들을 만나고 싶으면 약속을 잡고 밖으로 나가야하는데 오히려 집구석에서 TV만 보고 있다? 참 아이러니한 일이네요.
4) Television watching does satisfy these social needs to some extent, at least in the short run.
(적어도 단기적으로는, 텔레비전을 보는 것이 이러한 사회적인 욕구를 어느 정도까지는 정말로 만족시킨다.)
무한도전이나 런닝맨을 보면서 한바탕 웃고 나면 이러한 욕구가 만족까지는 아니더라도 어느 정도 해소는 되겠지만 이게 정답이 아니란 것은 누구나 아는 사실이겠죠.
5) Unfortunately, it is also likely to "crowd out" other activities that produce more sustainable social contributions to our social well-being.
(불행히도, 그것은 또한 우리의 사회적 행복을 위한 더 지속적인 사회적 기여를 만들어내는 다른 활동들을 "몰아내기" 쉽다.)
친구를 만나고, 새로운 사람도 소개받아 같이 밥먹고 어울리는 것이 좀 더 생산적이면서 장기적으론 사회적 관계를 확장시킬 수 있을 텐데, 그렇지 않고 집에서 '아, 밖에 굳이 나갈 필요가 없나. 그냥 유튜브나 봐야지...' 하면서 약속도 안잡고, 미루는 상황인 거죠.
6) The more television we watch, the less likely we are to volunteer our time or to spend time with people in our social networks.
(우리가 텔레비전을 더 볼수록, 우리는 사회적 관계망 속에서 우리의 시간을 기꺼이 할애하거나 사람들과 함께 시간을 덜 보내기 쉽다.)
물론, 여가 시간에 집에서 유튜브를 보는 게 잘못됐다는 것은 아니에요. 하지만, 외롭거나 무기력하다고 느끼는 상황에서까지 밖에 나가지 않으면서 유튜브나 넷플릭스보면서 대리만족하는 행위는 잘못된 것이죠.
7 In other words, the more time we make for Friends, the less time we have for friends in real life.
(다시 말해서, 우리가 Friends를 위해 더 많은 시간을 낼수록, 실제 친구들을 위해서는 시간을 덜 갖게 된다.)
'Friends'라는 예전 미국 시트콤이 있어요. 저도 몇 번 봤었는데 재밌긴 하거든요? 하지만 친구들을 보는 대신에 이 'Friends'만 계속 본다면 정작 자신에게 중요한 사회적 관계 및 행복들을 놓치게 되는 거겠죠?
소재: 텔레비전 시청, 사회적 관계
주제: 집에서 텔레비전만 보지 말고 밖에서 사람들과 교류하며 사회적 관계를 쌓아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