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굵게 표시 - 주요 문법
* 밑줄 표시 - 핵심 어휘
1) The old saying is that “knowledge is power,” but when it comes to scary, threatening news, research suggests the exact opposite.
(오래된 격언에 따르면 ‘아는 것이 힘이다’라고 하지만, 무섭고 위협적인 뉴스에 관한 한, 연구는 정반대를 시사한다.)
부정적인 뉴스에 대해선 오히려 모르는 것이 약이라구요? 이게 무슨 의미인지 계속해서 글을 읽어 봅시다.
2) Frightening news can actually rob people of their inner sense of control, making them less likely to take care of themselves and other people.
(두려움을 주는 뉴스는 실제로 사람들로부터 내면의 통제력을 빼앗을 수 있어서, 그들이 스스로와 다른 사람들을 돌볼 가능성을 더 낮게 만든다.)
아무리 읽어봐도...공감이 잘 되진 않습니다. 만약에 뉴스에서 곧 전쟁이 날지도 모른다는 내용이 나온다면, 식량도 넉넉히 쌓아두고, 주변사람들이나 군인 친구들에게 조심하라고 말할 것 같거든요...아무튼 계속해서 글을 읽어봅시다.
3) Public health research shows that when the news presents health-related information in a pessimistic way, people are actually less likely to take steps to protect themselves from illness as a result.
(공중 보건 연구는 뉴스가 건강과 관련된 정보를 비관적인 방식으로 제시할 때, 결과적으로 사람들이 질병으로부터 자신을 보호 하기 위한 조치를 취할 가능성이 실제로 더 낮다는 것을 보여준다.)
근거를 갖고 왔네요. 다음문장에 관련 예시가 나오니 같이 살펴볼까요?
4) A news article that’s intended to warn people about increasing cancer rates, for example, can result in fewer people choosing to get screened for the disease because they’re so terrified of what they might find.
(예를 들어, 증가하는 암 발생률에 대해 사람들에게 경고하려 하는 뉴스 기사는 그들이 발견할지도 모를 것에 대해 너무 두려워 하기 때문에 더 적은 사람들이 그 병에 대해 검사받는 것을 선택하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예를 들어, 뉴스에서 우리나라가 4명 중 1명꼴로 암에 걸린다는 'frightening'한 내용을 보도했을때, 사람들은 '지금 아무 문제도 없는데 괜히 검사했다가 암에 걸렸다는 사실을 알게 되면 어떡하지?'라는 걱정과 함께 병원에 가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음...아직까지도 잘 공감을 못하겠네요ㅠㅠ 그래도 나름 근거를 가지고 필자가 얘기를 하니까 끝까지 읽어는 봅시다.
5) This is also true for issues such as climate change.
(이것은 기후 변화와 같은 문제에도 해당된다.)
요즘 날씨가 참 이상하죠? 만약 뉴스에서 지구온난화가 매우 극심해지고 있다는 내용을 보도한다면, 사람들은 이를 완화시키기 위한 작은 노력을 실천하기보다는 그냥 자포자기 심정으로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는다는 것이 필자의 의견인 것입니다.
6) When a news story is all doom and gloom, people feel depressed and become less interested in taking small, personal steps to fight ecological collapse.
(뉴스가 온통 파멸과 암울한 상황일 때, 사람들은 우울하게 느끼고 생태학적 붕괴와 싸우기 위한 작고 개인적인 조치를 취하는 것에 흥미를 덜 느끼게 된다.)
'다음주에 지구가 멸망합니다!', '적군이 이미 서울을 점령하고 부산으로 내려가고 있습니다!' 정도의 뉴스라면 필자의 의견에 동의하겠지만...대체적으로는 그렇지 못할 것 같네요 ㅎ...
소재: 부정적인 내용의 뉴스
주제: 부정적인 내용의 뉴스에 대해선 오히려 모르는게 약이다!
'2022년 고1 11월 모의고사 지문 해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 고1 11월 모의고사 29번 지문 해설 (0) | 2022.12.02 |
---|---|
2022 고1 11월 모의고사 24번 지문 해설 (0) | 2022.12.02 |
2022 고1 11월 모의고사 23번 지문 해설 (1) | 2022.12.01 |
2022 고1 11월 모의고사 21번 지문 해설 (0) | 2022.11.29 |
2022 고1 11월 모의고사 20번 지문 해설 (0) | 2022.11.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