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2년 고1 11월 모의고사 지문 해설

2022 고1 11월 모의고사 24번 지문 해설

by KU-Riel 2022. 12. 2.
728x90
반응형

 

* 굵게 표시 - 주요 문법

* 밑줄 표시 - 핵심 어휘

 

1) Have you ever brought up an idea or suggestion to someone and heard them immediately say “No, that won’t work.”?

(누군가에게 아이디어나 제안을 내놓고, 그들이 즉시 “아니, 그건 안 될 거야.”라고 말한 것을 들은 적이 있는가?)

 

흔히 '입구컷'이라고도 하죠. 내 기준으론 열심히 고민해서 낸 아이디언데 제안을 하자마자 퇴짜를 맞으면 기분이 당연히 안좋겠죠?

 

2) You may have thought, “He/she didn’t even give it a chance. How do they know it won’t work?”

(여러분은 아마도 “그 사람은 기회조차 주지 않았어. 어떻게 그들은 그것이 안 될 것이라는 것을 알지?”라고 생각했을 것이다.)

 

속으로 '너, 뭐 돼?' 생각하면서, 기분이 안좋아질거예요.

 

3) When you are right about something, you close off the possibility of another viewpoint or opportunity.

(여러분이 어떤 일에 대해 옳다면, 여러분은 다른 관점이나 기회의 가능성을 닫아 버린다.)

 

대학에서 조별과제를 하다보면, 주제는 무엇으로 잡을 것인지 혹은 어떠한 컨셉으로 발표를 할 것인지 팀원들 간에 정해야돼요. 그래서 각자 정보를 열심히 찾아보고 고민하다가 나름 좋은 아이디어를 떠올리고, 그 아이디어를 구체화시키는 과정을 거치다보면 나도 모르게 그 아이디어에 애착이 생기게 되고, 이 방향이 정답이라고 생각하게 되는 경우가 종종 있어요.

 

4) Being right about something means that “it is the way it is, period.”

(어떤 일에 대해 옳다는 것은 “그것은 원래 그런 거야, 끝.”이라고 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인이 생각해온 방향이 옳다고 생각하니 다른 팀원이 '이건 예산적으로 힘들 것 같은데?', 혹은 ''그건 시간이 너무 많이 들 것 같아.' 등의 문제점을 말해줘도 '아냐, 충분히 할 수 있어.', '일단 시작해보고 생각해보자.' 식으로 본인의 주장을 밀어붙이게 되는 거죠.

 

5) You may be correct.

(여러분이 맞을 수도 있다.)

 

물론, 그렇게 해서 A+를 받을 수도 있죠.

 

6) Your particular way of seeing it may be true with the facts.

(여러분이 그것을 보는 특정한 방법이 사실에 부합할 수도 있다.)

 

그렇다고 해서 항상 정답인 것만은 아니겠죠?

 

7) However, considering the other option or the other person’s point of view can be beneficial.

(하지만 다른 선택지나 다른 사람의 관점을 고려하는 것은 이로울 수 있다.)

 

다른 조원들의 아이디어는 무엇이 있는지 잘 경청하고, 피드백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것은 팀플에 있어서 핵심이에요.

 

8) If you see their side, you will see something new or, at worse, learn something about how the other person looks at life.

(만약 여러분이 그들의 관점을 안다면, 여러분이 새로운 것을 보거나 그것보다는 나쁘더라도 다른 사람이 삶을 바라보는 방식에 대한 무언가를 배울 것이다.)

 

내가 생각해보지 못했던 관점에서 새로운 탐구를 시작해볼 수도 있고, 혹 지금 당장은 아니더라도 나중에 새로 접목시킬만한 기회가 생길 수도 있겠죠.

 

9) Why would you think everyone sees and experiences life the way you do?

(왜 모두가 여러분이 하는 방식대로 삶을 보거나 경험할 것이라고 생각하는가?)

 

다행히도 대학에서 팀플하면서 자기 생각만 옳다고 주장하는 사람은 만난 적은 없어요. 물론, 아무런 아이디어도 내지 않고 가만히 있는 사람들은 꽤 있답니다.

 

10) Besides how boring that would be, it would eliminate all new opportunities, ideas, invention, and creativity.

(그것이 얼마나 지루할지는 제외하고라도, 그것은 모든 새로운 기회, 아이디어, 발명, 그리고 창의성을 없앨 것이다.)

 

자신 말고 다른 사람들은 어떠한 생각을 갖고 있는지 궁금하지 않나요? 서로의 생각을 공유하고 보완하면서 우리는 좋은 방향으로 과제를 이끌어나갈 수 있을 거예요.

 

 

소재: 나만이 옳다고 생각하는 것

 

주제: 내가 정답이라고 생각해서 다른 사람들의 관점을 무시하지 말자!

728x90
반응형

댓글